삽질메모장

노트북을 리눅스 서버로 사용하기 - 1(서버 os 설치부터 외부 ssh접속툴, mariaDB 세팅까지) 본문

OS/Ubuntu

노트북을 리눅스 서버로 사용하기 - 1(서버 os 설치부터 외부 ssh접속툴, mariaDB 세팅까지)

shovel 2023. 12. 11. 19:30

AWS 프리티어의 경우 spring 프로젝트 배포시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었던 경험이있다.

회사에는 메모리만 128~256BG의 사양을 가진 서버가 있엇고 직접 세팅하고 관리하며 이 참을수없는 쾌적함에 항상 감사하고있었다.

 

퇴직후 내가 하고싶은 프로젝트를 하기위해 서버를 이용해야하는데 AWS에 돈을 내면서 쓰긴싫었기에 이제는 안쓰는 노트북을 서버OS를 설치해 개인서버로 사용하기로 했다.

 

  •  서버 노트북 사양
    • 메모리 : 12gb
    • cpu : 라이젠3500u
    • OS : Ubuntu 22.04.3 LTS

 

OS 다운로드, USB 부팅


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

 

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

 

ubuntu.com

LTS 버전 다운로드

1. 부팅 USB 를 만들기위해  위해 먼저  rufus 를 설치한다.

2. rufus를 실행하여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올린다.

3. 해당 boot usb 를 설치하고자하는 노트북에 연결한뒤 전원을넣고 F12, F2 등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바이오스 세팅화면으로 진입한다. 제 경우는 레노버 노트북이므로 F12 로 진입후 상단메뉴의 Boot>USB HDD 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였다

처음 시도시 USB가 나타나지않아 당황했는데 블루투스마우스 USB가 연결되어 있었다

 

이미지 : https://sixgongi6.tistory.com/27

4. USB부트시 우분투의 설치 세팅화면들이 나온다

 

-언어 세팅 : English

 

-업데이트 :어차피 우린 최신 LTS버전을 사용하므로  Continue without updating

 

-키보드 : 반드시 Korean 으로 설정

 

 

 

 

 

-네트워크 : 만약 LAN 포트를 연결하여 고정 IP를 사용하고 있으면 ethX 이런식으로 세팅을한다. wifi로 dhcp 접속을 하므로 DHCPv4를 선택.

 

 

이후 세팅은 전부 넘어가도 무방하다 파티션, 프록시, 미러서버의 경우 필요하신분은 이미 스스로 잘 알고계실것 같다.

 

 

넘어가다보면 SSH setup 이 나오는데 이때 Install OpenSSH server 에 체크후 넘어간다.

이후에 서버에 사용가능한 패키지들도 설치할지 묻는데 어차피 필요하면 그때그때 설치하면 되므로 넘어간다.

 

 

 

설치가 끝나면 아래와 같이 Reboot Now 가 나온다 이때 리부트를 진행하면 설치가 끝나고 설정한 ID/PW로 로그인을 하는 화면이 나온다